세계일보

검색

독일인 간호사 잉게보르크 베스트팔 할머니는 청년 시절인 1954∼1956년 부산에서 6·25전쟁 부상자 등 치료에 헌신했다. 그는 전쟁 직후인 1954년 5월부터 1959년 3월까지 부산에 설치·운영된 독일적십자병원 소속이었다. 훗날 국내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할머니는 “한국에 처음 갔을 때는 심각하고 비참한 상황이었다”고 회상했다. 우리 정부 초청으로 2000년대 한국을 방문한 뒤에는 “너무 멋지게 발전해 내 기억 속에 있던 한국의 모습을 찾아볼 수 없었다”며 기뻐했다. 2022년 3월 그가 별세하자 주독일 한국대사관은 “6·25전쟁 중 맺은 대한민국과 독일 간의 우정을 영원히 기억할 것”이라고 애도했다.

한국인들은 오랫동안 ‘참전 21개국’이란 표현에 익숙했다. 6·25전쟁 당시 전투병력을 보낸 미국, 영국 등 16개국과 의료지원을 제공한 스웨덴 등 5개국을 합쳐 그렇게 불렀다. 전쟁이 종반으로 치닫던 1953년 4월 독일(당시 서독)은 유엔군을 이끌던 미국에 “야전병원을 한국으로 보내겠다”고 제안했다. 미국의 동의를 얻은 뒤에도 의료진 구성과 파견까지 상당한 시일이 소요됐다. 제2차 세계대전에서 패해 온 나라가 쑥대밭이 된 상황에서 해외 파병은 결코 쉬운 결정이 아니었을 것이다.

독일 의료진은 정전협정이 체결되고 난 1954년에야 부산에 도착했다. 이들은 그때부터 약 5년간 입원 환자 2만여명과 외래환자 28만여명을 진료했다. 또 한국인 간호사를 비롯한 의료인 수십명을 양성했다. 하지만 ‘전란이 끝난 뒤 한국에 왔다’는 이유로 독일은 참전국 명단에서 제외됐다. 2018년에야 당시 문재인정부가 독일을 의료지원국에 포함시키는 결단을 내린다. 6·25전쟁 종료 후 65년이 지나서야 참전국이 22개국으로 늘었으니 만시지탄을 금할 길 없다.

그간 독일에는 6·25전쟁 기념 조형물이 하나도 없었다고 한다. 참전국으로 공식 인정을 받지 못했기 때문일 것이다. 우리 정부 지원금 2억여원 등을 재원 삼아 건립한 독일 최초의 6·25 참전비 제막식이 내일 열려 강정애 국가보훈부 장관이 한국을 대표해 참석할 예정이다. 한·독 양국의 오랜 친선을 재확인하고 더욱 강화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김태훈 논설위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트리플에스 지우 '매력적인 눈빛'
  • 트리플에스 지우 '매력적인 눈빛'
  • (여자)이이들 미연 '순백의 여신'
  • 전소니 '따뜻한 미소'
  • 천우희 '매력적인 포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