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단독] 빚 160조 LH, 태블릿 구입에만 240억 쓴다

입력 : 2025-09-17 18:47:47 수정 : 2025-09-18 01:19:21
유지혜 기자 keep@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모바일 오피스’ 구현 사업 명목
전직원에 고가기기·통신비 지급
“과도한 복지·방만 경영” 비판
LH “효율성 위해 노후기기 교체”

부채만 160조원이 넘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240억원가량을 들여 모든 직원에게 태블릿PC와 통신비를 지급하기로 해 눈총을 사고 있다. 

 

17일 더불어민주당 윤종군 의원실에 따르면 LH는 ‘모바일 오피스 환경 고도화’ 사업 명목으로 약 237억9200만원을 들여 임직원 8756명 전원에게 태블릿PC와 통신비를 지급한다.

서울 강남구 한국토지주택공사(LH) 서울지역본부. 연합뉴스

LH는 2020년 ‘스마트 오피스’(지능형 사무실) 추진을 위해 업무에 도입한 태블릿PC 9902대를 운영하고 있는데, 5년이 지나 이를 새 제품으로 교체한다는 취지다. 단말기와 펜·키보드 등 비품 구매에 약 186억원, 통신비(36개월 기준)에는 약 54억원이 들어간다.

 

업무와 직접 연관이 없는 직원까지 고가의 기기를 받게 된다는 점에서 사실상 복리후생 성격이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된다. 지급되는 태블릿PC 1대당 평균 가격은 약 163만원으로, 직원들은 최신형 삼성 갤럭시탭과 애플 아이패드 중 원하는 기기를 선택할 수 있다.

 

과도한 직원 복지는 공공기관 방만 경영 사례로 꾸준히 제기돼 온 문제다. 윤 의원은 “LH는 2020년 인쇄물 낭비를 줄이겠다며 100억원을 들여 전 직원에게 태블릿PC를 지급했지만, 정작 회의장에는 여전히 인쇄물이 쌓여 있었다”며 “국민 혈세로 운영되는 기관인 만큼 직무 관련성을 따져 명확한 기준으로 지급하는 등 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LH는 태블릿PC는 업무용이고, 통신비 지원은 보안상 와이파이(Wi-Fi)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해명했다. LH 관계자는 세계일보와 통화에서 “교육·회의·보고 시 페이퍼리스(종이 없는) 문화 확산, 디지털 업무 수첩 활용, 출장·재택·유연 근무 등을 위해 태블릿PC를 활용해 왔다”며 “원활한 업무 환경 제공과 인공지능(AI) 등 디지털 신기술을 활용한 업무 효율성 향상을 위해 노후기기를 교체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오피니언

포토

손예진 'BIFF 여신'
  • 손예진 'BIFF 여신'
  • 아이들 슈화 '반가운 손인사'
  • 신예은 '매력적인 손하트'
  • 김다미 '깜찍한 볼하트'